강아지를 가족으로 맞이했다면, 가장 먼저 챙겨야 할 것이 바로 예방접종입니다. 예방접종은 단순한 선택이 아니라 반려견의 생명을 지키는 필수 항목이에요.
이번 포스팅에서는 강아지 예방접종 시기, 꼭 맞아야 하는 이유, 각 접종의 효과와 주의사항까지 하나하나 자세히 알려드릴게요.
강아지 예방접종, 왜 꼭 맞아야 하나요?
강아지는 태어날 때 엄마에게 면역력을 일부 받지만, 그 효과는 생후 6~8주 이후 빠르게 사라집니다. 이후부터는 스스로 면역을 갖추기 위해 정기적인 백신 접종이 필수입니다.
예방접종을 하지 않으면, 치명적인 바이러스나 전염병에 감염될 수 있어요. 특히 홍역, 파보바이러스, 전염성 간염은 치료가 어렵고 사망률이 높은 질병입니다.
✔ 예방접종의 주요 목적은?
- 생명을 위협하는 전염병 예방
- 면역력 형성
- 다른 반려동물과의 교류 시 안전 확보
- 반려견과 보호자의 건강 보호 (인수공통감염병 예방)
강아지 예방접종 시기표 (생후 8주부터)
접종 시기 접종 종류 주요 예방 질병
생후 6~8주 | 종합백신 1차 | 홍역, 간염, 파보, 파라인플루엔자, 코로나 |
생후 10주 | 종합백신 2차 + 켄넬코프(선택) | 위 질병 + 호흡기 질환 |
생후 12주 | 종합백신 3차 + 코로나 + 켄넬코프 | 면역 강화 |
생후 16주 | 종합백신 4차 + 광견병 | 인수공통감염병 예방 |
생후 6개월 이후 | 추가접종 (선택) | 코로나, 인플루엔자 등 |
이후 매년 1회 | 종합백신 + 광견병 | 면역력 유지 |
※ 켄넬코프(개 전염성 기관지염): 강아지가 사회화나 미용 등 외부 활동이 많다면 추가 접종 권장
각 접종별 효과 자세히 알아보기
1. 종합백신 (DHPPL)
- 예방 질병: 홍역, 간염, 파보바이러스, 파라인플루엔자, 렙토스피라
- 접종 횟수: 생후 8주부터 총 3~4회
- 효과: 전염성과 사망률이 높은 바이러스에 대한 강력한 면역 형성
2. 코로나바이러스
- 예방 질병: 장염 증세 유발 (사망률 낮지만 매우 고통스러움)
- 접종 횟수: 2회
- 효과: 위장관 보호, 설사 및 탈수 예방
3. 켄넬코프
- 예방 질병: 전염성 기관지염 (기침, 콧물, 발열)
- 접종 횟수: 연 1~2회
- 효과: 미용실, 호텔, 훈련소 등 사회활동 많은 강아지에게 필수
4. 광견병
- 예방 질병: 사람에게도 전염되는 치명적 바이러스
- 접종 시기: 생후 16주 이후 1회, 이후 매년
- 효과: 반려동물 및 사람 모두 보호
예방접종 시 주의해야 할 점
- 건강 상태 확인 후 접종
감기, 설사, 식욕 저하 등 이상 징후가 있을 경우 접종을 미뤄야 합니다. - 접종 후 30분은 반드시 관찰
알레르기 반응(구토, 부종, 호흡곤란 등)이 발생할 수 있어요. 동물병원 근처에서 대기하는 것이 좋아요. - 목욕, 과격한 활동 금지 (3일간)
접종 후 면역력 형성 중이기 때문에 면역 저하로 인한 감염을 피해야 합니다. - 정확한 접종 기록 관리
동물등록과 동시에 예방접종 이력도 함께 관리하면 유사시에 큰 도움이 됩니다.
마무리 | 예방접종은 선택이 아닌 '필수'
강아지에게 있어 예방접종은 건강을 위한 첫걸음이자 평생을 지키는 가장 중요한 보호장치입니다. 사랑하는 반려견이 아프지 않고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, 정확한 시기에 맞는 백신 접종을 꼭 챙겨주세요.
'반려동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강아지 식분증, 왜 생기고 어떻게 해결할까? (0) | 2025.04.16 |
---|---|
비 오는 날, 실외배변에 익숙한 강아지 실내배변 유도하는 방법 (1) | 2025.04.14 |